image.png

image.png

image.png

image.png

명 칭 도안서원(道安書院)
소 재 지 상주시 하동면 판곡리 (원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도곡리)
건축시기 1600년 후반
중건시기 2000년 복원
이건시기 1783년 이건
소 유 자 청도김씨 문중

💠 건축 배경 도안서원은 근래에 복원한 서원이다. 1600년 후반에 공성면 도곡리에 도안서당을 세웠다. 1783년(정조 7)에 김우태(金宇泰)가 죽고 난 후에 그가 살던 곳인 공성면 산현리로 옮기면서 묘호를 도안사로 승격하였다. 1870년 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 1999년 본손인 김규호의 노력으로 상주향교에서 복원추진위원회가 결성되어 당시의 전교인 정경진(鄭景鎭)을 위원장으로 하여, 도안서원을 청도김씨 세거지인 화동면 판곡리 원통산 아래로 장소를 정하여 복원하기로 결의하여 2000년에 복원한 서원이다.

💠 건축 특징 왼쪽에 묘우가 배치되고, 오른쪽에 강당이 있는 좌묘우학의 구조이다. 강당과 묘우사이에 담장이 설치되어 있어, 강당에서 묘우를 가려면 반드시 밖으로 나가야 한다.

💠 건축구성

💠 현판 모현사(慕賢祠) 묘우 정면 처마에 걸린 현판이다.

도안서원(道安書院) 건물 중앙 마루 오른쪽 처마에 걸린 강당의 당호이다.

💠 향사일 도안서원의 향사는 매년 음력 3월 25일로 정해져 있다.

가을 향사는 치르지 않는다.

향사 홀기에 따르면, 향사 전날 유사는 서원 내외를 청소하며, 제기도 씻는다. 희생이 서원 문밖에 도착하면 제관들이 복장을 갖추고 살펴본 후, 각자 처소로 들어가 제향에 대한 연습을 한다.

유사는 헌관의 자리를 묘우 중간에 설치하며 북향하여 서쪽을 상석으로 설치한다. 제생의 자리는 그 뒤에 차례로 설치한다. 내삼문 동편 문앞에 헌관의 자리를 마련하여 남으로 줄을 서며 북향하여 서쪽이 상석이다. 관세위를 동쪽 계단아래 설치하며, 행사 시작 오각 전에 장찬자는 사당에 들어가 제수를 진설한다. 알자가 초헌관을 모시고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진설을 점검한다. 집례자가 차례대로 행사를 시작한다.

💠 관련인물